라우팅(Routeing)의 개념과 종류(RIP, IGP, EIGRP, OSPF, BGP)
가기전 앞서 라우팅이 무엇인지 모르면 윗글을 읽어보자.
앞서 라우터 모델은 2911, 모듈은 시리얼 포트 2개, SFP 포트 3개를 사용했다.
라우터한쌍 통신을 먼저 해보자, IP통신을 할려면 맞는 IP가 있어야 한다.
포트에 IP를 넣어주고 핑통신을 체크해보니 잘 된다.
R1 밑에 다른 라우터를 넣었다. 다른 사이트에서 사용하기때문에 IP를 분리하였다.
R1과 R1-2는 서로 통신이 잘된다.
R1-2 에서 R1이 가지고 있는 1.1.1.1로 통신이되지 않는다. 이유를 모르겠으면 다시 공부해보자.
R1-2에서 1.1.1.0 길을 열어준 후 통신이 된다. 정적 라우팅은 양쪽에서 해야하는거 아니냐 생각할 수 있다, 다시 공부해보자.
R2에서도 마찬가지 10.10.10.1 로 통신이 불가능하다.
똑같이 길을 열어준 후 통신이 된다.
R2 와 R1-2도 똑같이 통신이 가능해졌다.
R2 옆에 R2-2도 구성했다, 대역은 20.20.20.0/24 서로 통신은 잘된다.
설정을하니 R1-2 에서 R2-1로 잘 나간다. 본인이 직접 해보고 답이 나오지않는다면 아래의 설정을 참고해보자.
R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 20.20.20.0대역은 1.1.1.2로
R1-2
ip route 1.1.1.0 255.255.255.0 10.10.10.1 // 1.1.1.0대역은 10.10.10.1로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 20.20.20.0대역은 1.1.1.2로
R2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1.1.1 // 10.10.10.0대역은 1.1.1.1로
R2-2
ip route 1.1.1.0 255.255.255.0 20.20.20.1 // 1.1.1.0대역은 20.20.20.1로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1.1.1 // 10.10.10.0대역은 1.1.1.1로
각 끝에 라우터를 한개씩 더 추가했다. 시리얼 통신으로 각 -2 라우터들과 연결한다.
목표는 R3 과 R4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다.
설정을 마치고 핑테스트를 해보니 잘 나간다, !가 5개가 나오지않고 !.!.! 이런식이나 !U.!U 로 나올경우 경로설정이 이상하여 핑이 빠지는것이다. 생각을 잘해보자.
R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 20.20.20.0대역은 1.1.1.2로
ip route 2.2.2.0 255.255.255.0 10.10.10.2
ip route 3.3.3.0 255.255.255.0 20.20.20.2
R1-2
ip route 1.1.1.0 255.255.255.0 10.10.10.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ip route 3.3.3.0 255.255.255.0 20.20.20.2
R2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1.1.1
ip route 2.2.2.0 255.255.255.0 10.10.10.2
ip route 3.3.3.0 255.255.255.0 20.20.20.2
R2-2
ip route 1.1.1.0 255.255.255.0 20.20.20.1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1.1.1
ip route 2.2.2.0 255.255.255.0 10.10.10.2
R3
ip route 10.10.10.0 255.255.255.0 2.2.2.2
ip route 1.1.1.0 255.255.255.0 10.10.10.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ip route 3.3.3.0 255.255.255.0 20.20.20.2
R4
ip route 10.10.10.0 255.255.255.0 2.2.2.2
ip route 1.1.1.0 255.255.255.0 10.10.10.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ip route 3.3.3.0 255.255.255.0 20.20.20.2
이제는 규칙성이 보입니다.
첫날 R1에서 출발을한다고 가정하였을때, R1과 R2는 길이 연결되어있고 가본적이 있기때문에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이 갈 수 있습니다.
첫날 R2까지 갔다가 집에 돌아온 후 R3까지 갈 예정입니다, 근데 길을 모릅니다, 어떻게 알아야할까요?
길을 직접 알려주는게 정적 라우팅 입니다.
이런식으로 정문과 후문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여러분들이 길을 알려준다면 어떤식으로 알려주실건가요?
1. 그냥 길따라 쭉가시면 R3나와요
2. R2지나서 가시면 나와요
3. R3가는길은 R2후문 지나서 길따라가시면 나와요.
정적 라우팅은 3번처럼 알려줘서 길을 열어주는겁니다. 이제 명령어로 같이 봅시다.
R1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ip route : 길알려드릴께요
20.20.20.0 255.255.255.0 : R3는
1.1.1.2 : R2후문으로 나가시면 됩니다.
R1에서 출발하는 사람은 첫날에 R2까지 돌아봤으니 R2후문이 어딘지는 알고있죠, 그래서 R2후문의 주소를 마지막에 찍어줌으로써 R3가는길을 열어주는겁니다.
그렇다면 R4는 어떤식으로 가야할까요?
전날에 R3까지 가는길을 알려줬으니 R1은 R3까지 누가 알려주지않아도 알아서 잘 왔다갔다 할겁니다. 그럼 R4는 어떤식으로 알려줘야 할까요?
1. R3후문으로 나가시면 나와요
2. R2후문으로 나간다음 R3도착하셔서 후문으로 나가면 R4나와요
3. R2정문 들어가셔서 후문으로 나가면 R3정문 나오고, R3후문으로 나가면 R4정문나와요
4. R3후문으로 나가서 가시면 R4나와요
정답은 4번 입니다.
ip route 20.20.20.0 255.255.255.0 1.1.1.2 // R3 알려주는 명령
ip route 2.2.2.0 255.255.255.0 10.10.10.2 // R4 알려주는 명령
ip route : 길알려드릴께요
2.2.2.0 255.255.255.0 : R4는
10.10.10.2 : R3후문으로 나가시면 됩니다.
이유는 전날에 R3까지 가봤기 때문에 내부 구조가 어떤지 R1은 다 알수가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다른 부가 설명 필요없이 R4 가는길은 R3후문에서 나가라 는 말만 해주면 알아서 갈 수 있는거죠.
이건 단편적인 설명만 한거고, R2도 R4가는길을 모르기때문에 R2에도 알려줘야하고 네트워크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야 하기때문에 R3도 R1의 길을 알아야하고, R4도 R2와 R1의 길을 알아야하기때문에 위와같은 명령어들이 다수 들어가는겁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R1은 R4까지 가는법을 알고있으나, R4는 안알려줬기 때문에 R4에도 반대로 가는 방향을 알려줘야 합니다.
또한 중간에 걸친 R2와 R4에게도 가본적없는 R3와 R1의 길을 알려줘야 모든 라우터가 통신을 하겠죠.
간단하게 그림으로 표현하면 요런식일까요?
후문과 정문은 같은 IP 대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실성 정문의 IP대역만 알려주면 알아서 후문으로 들어가 다른 라우터에 정문으로 갈겁니다.
위에서 봤던것처럼 라우팅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엄청나게 많이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라우팅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하는 설계가 좋다고 하는겁니다.
'Network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의 개념 (0) | 2024.09.06 |
---|---|
STP(Spanning-Tree Protocol) 스패닝 트리란? (0) | 2024.08.30 |
VRRP란? -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feat.HSRP (0) | 2024.08.29 |
VLAN(Virtual LAN)의 개념 (0) | 2024.08.26 |
라우팅(Routeing)의 개념과 종류(RIP, IGP, EIGRP, OSPF, BGP)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