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흔한 가정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 해보겠습니다.
우선 필요한 장비를 등록해줍니다.
보통 집에 라우터 -> 공유기 -> PC로 구성되어있는데 무선만 지원하는 공유기가 안보여 무선이없는 허브로 대체했습니다.
예제도 같이 넣었는데요 한번 해보겠습니다.
우선 컴퓨터 설정부터 변경하겠습니다. Desktop -> IP Configuration 클릭해줍니다.
미리 구성한대로 IP 설정을 하였고 최종목적지인 라우터를 게이트웨이로 구성했습니다.
노트북설정 또한 변경합니다.
Command Prompt 들어가 핑테스트 해줍시다.
노트북과의 통신은 이어져있으나 라우터로는 핑이안나갑니다. 라우터 설정을 해줍시다.
라우터의 CLI 메뉴로 넘어가면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Config에 들어가면 쉽게 설정을 바꿀 수 있지만, 실제 라우팅 작업은 모두 명령어로 진행하기때문에 CLI에 익숙해집시다.
해당 기능은 초기 부팅시 나오는 것인데 아래의 링크에 접속하여 확인해보세요.
4) 실무에서 바로 쓰이는 CISCO CLI 메뉴얼(초기 스위치 설정)
Global Parameters 설정 절차 1. 초기에 boot parameter를 설정하지 않으면 rommon> boot 명령어를 사용한다. rommon 1 > boot disk0:cat4500es8-universalk9.SPA.03.03.02.XO.151-1.XO2.bin Self decompressing the image : ########################
wantyou7.tistory.com
우리는 직접 해야해서 no 하여 넘어가줍니다.
Router>
Router>ena
Router>enable // 권한 상승
Router#conf
Router#configure ter
Router#configure terminal // 라우터 설정 변경 모드 진입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 컨트롤+Z로도 종료 가능
Router(config)#no ip domain-look
Router(config)#no ip domain-lookup // 명령어외 입력시 자동으로 DNS 서버 찾지 않기
Router(config)#
제가 입력한 명령어 입니다. 스위치나 라우터에서 특정 명령어를 모두 입력하기엔 귀찮고 시간도 많이먹어서 줄임 기능이나 Tap을 눌러 자동완성이 가능합니다. 자동완성이 되는경우는 겹치는 명령어가 없으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enable 같은 경우는 en 으로 입력해도 동일한 기능입니다.
conf t 도 configure terminal 같은 기능입니다.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이제 라우터에 IP를 부여합시다.
Router(config)#int
Router(config)#interface fas
Router(config)#interface fastEthernet 1/0 // 인터페이스 fa 1/0 진입
Router(config-if)#ip add
Router(config-if)#ip address 1.1.1.1 255.255.255.0 //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부여
Router(config-if)#no shu
Router(config-if)#no shutdown // 인터페이스 셧다운 해제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1/0, changed state to up // 상태 업으로 변경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1/0, changed state to up // 프로토콜 업으로 변경
Router(config-if)#exit // 인터페이스 설정 종료
Router(config)#exit // 설정 모드 종료
이 작업만 해주면 IP부여가 완료됩니다. 다시 컴퓨터에서 핑테스트를 해봅시다.
통신이 잘됩니다.
노트북과 라우터에서도 통신이 잘됩니다.
다음에는 라우터간 통신 방법을 알아봅시다.
'Network >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Access, Trunk) 실습 (0) | 2024.09.05 |
---|---|
라우팅 프로토콜(RIP, EIGRP, OSPF, BGP) 실습 - Packet Tracer (0) | 2024.09.03 |
Packet Tracer 패킷 트레이서 기본 사용 방법 - 2 (0) | 2024.07.07 |
Packet Tracer 패킷 트레이서 기본 사용 방법 - 1 (0) | 2024.07.07 |
Packet Tracer 패킷 트레이서 다운로드 하기 (0) | 2024.07.07 |